Author: openus

권순용

FIND 연구실은 혁신적인 전자 및 에너지 소자 구현을 위해, 원자 수준 제어를 통한 저차원 (0D, 1D, 2D) 나노소재 설계 및 합성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차세대 로직 및 메모리 반도체 소자 개발을 위해 대면적 2차원 반도체/금속 합성 및 전극 접합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수소 생성...

김주영

로버스트 다기능 연구실은 재료의 기계적 물성을 다양한 스케일과 환경에서 측정하는 기술에 기반하여, 기계적으로 강건한 기능성 재료 개발을 합니다. 나노스케일 재료의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고 분석하는 나노역학, 철강 재료 등의 전통 구조 금속 재료 연구, 플렉서블 및 스트레처블 소자의 유연성 연구, 반도체에 잔류 응력 해석 및 구리-구리...

김지윤

물질지능 연구실에서는 신소재 기반 차세대 로봇을 연구합니다. 기존의 모방형 로봇에서 나아가, 로봇과 사물의 형태/물성/기능을 직접적으로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소자와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 소재, 구조, 시스템, 제작, 제어에 이르기까지 전 스케일에서 다양한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2021 - Present: Associate Professor, MSE, UNIST,...

박성수

UNIST 합금설계 연구실에서는 주로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 기반 다성분계 금속 합금의 설계, 분석 및 상용화 연구 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개발이 진행 중인 신소재는 미래형 수송기기, 극한환경용 부품, 의료용 임플란트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시험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속 기반 신소재 개발 연구는 슈퍼컴퓨터 시스템을...

서준기

반도체 나노기술 연구실은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소자 구현을 위한 전자소재 합성, 반도체 공정개발 및 소자 평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i) 칼코게나이드계 2D 물질 및 상변화 메모리 소재의 합성, ii) 초미세, 초절전, 고신뢰 반도체 소자 제작 공정, iii) 비휘발성 메모리 및 스위칭 소자의 인공지능...

송명훈

본 실험실은 할라이드기반 페로브스카이트 혹은 고분자기반의 광전소자 (발광소자, 태양전지, 레이징소자 등)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에 중점을 두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ZnO, SnO,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등과 같은 나노물질 합성에서 부터 전기광학적인 분석 및 소자제작 및 적용까지 종합적인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2018-Present : Professor, UNIST  ...

신형준

우리는 극저온주사터널링현미경 및 원자현미경을 기반으로 반도체, 센서, 에너지 변환 및  촉매 재료 등 다양한 신소재의 모델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것들의 근본적인 물성과 양자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규명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근본 원리를 바탕으로 작게는 원자부터 크게는 벌크 재료까지 다양한 스케일의 재료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2020-Present...

유정우

나노스핀수송 연구실은 미래 인공지능 연산 구현을 위해 전자의 스핀거동을 제어하여 새로운 초고속 저전력 스핀트로닉스 소자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노스케일에서 나타나는 스핀산란, 스핀 수송, 자성 등의 다양한 물성에 대한 전기적 신호 검출에 기반하여 최첨단 신개념 로직 및 메모리 소자 개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

윤태식

반도체 나노소자 연구실은 반도체 재료, 공정, 소자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실로서, 차세대 반도체 시스템인 뉴로모픽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인공시냅스 소자, 멤컴퓨팅 소자, 그리고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2021-Present: Professor, UNIST 2007-2020: Professor, Myongji University 2007: Senior Researcher, Samsung Electronics 2004-2006: Postdoctoral Researcher,...

이기석

본 연구실은 자성재료에 대한 기초 및  다양한 응용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수 나노크기의 구조체에서 스핀에 대한 기초적 이해와 이를 이용한 메모리 및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용 스핀트로닉 소자에 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희토류 없는 영구자석 신소재 개발, 자성 입자를 이용한 친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