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원

교원소개

FIND 연구실은 혁신적인 전자 및 에너지 소자 구현을 위해, 원자 수준 제어를 통한 저차원 (0D, 1D, 2D) 나노소재 설계 및 합성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차세대 로직 및 메모리 반도체 소자 개발을 위해 대면적 2차원 반도체/금속 합성 및 전극 접합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수소 생성...

More

가상재료공정설계 연구실 (VDLab) 은 멀티스케일/멀티피직스 관점의 전산모사 기법을 활용하여 반도체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재료 및 공정에 대한 근원적인 이해와 나아가 설계안을 제공할 수 있는 고도화된 방법론 개발을 목적으로 합니다. The Virtual Materials and Processes Design Laboratory (VDLab) endeavors to develop highly sophisticated methodologies for an essential understanding and innovative design of materials and processes across a broad spectrum, encompassing multiscale phenomena from quantum to continuum mechanics.   – Curriculum Vitae ·         2024 – present:...

More

나노소자 공정 연구실은 원자층 증착법 (atomic layer deposition, ALD)과 영역 선택 원자층 증착법 (Area-selective ALD)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차세대 배선 공정/소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나노 소재의 기능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화된 나노 소재를 에너지 변환, 에너지 저장, 웨어러블...

More

미래반도체 연구실은 “More Moore” 및 “More Than Moore” 관련 기초 연구 및 개발된 기술의 산업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저희 연구실은 다양한 연구 분야(A.I, PCM, NCFET, Plasma Etching, Laser Annealing 등)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와 이를 이용한 인공지능 시스템 연구를 하고 있어서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 기업들과...

More

로버스트 다기능 연구실은 재료의 기계적 물성을 다양한 스케일과 환경에서 측정하는 기술에 기반하여, 기계적으로 강건한 기능성 재료 개발을 합니다. 나노스케일 재료의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고 분석하는 나노역학, 철강 재료 등의 전통 구조 금속 재료 연구, 플렉서블 및 스트레처블 소자의 유연성 연구, 반도체에 잔류 응력 해석 및 구리-구리...

More

물질지능 연구실에서는 신소재 기반 차세대 로봇을 연구합니다. 기존의 모방형 로봇에서 나아가, 로봇과 사물의 형태/물성/기능을 직접적으로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소자와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 소재, 구조, 시스템, 제작, 제어에 이르기까지 전 스케일에서 다양한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2021 – Present: Associate Professor, MSE,...

More

UNIST 합금설계 연구실에서는 주로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 기반 다성분계 금속 합금의 설계, 분석 및 상용화 연구 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개발이 진행 중인 신소재는 미래형 수송기기, 극한환경용 부품, 의료용 임플란트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시험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속 기반 신소재 개발 연구는 슈퍼컴퓨터 시스템을...

More

반도체 나노기술 연구실은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소자 구현을 위한 전자소재 합성, 반도체 공정개발 및 소자 평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i) 칼코게나이드계 2D 물질 및 상변화 메모리 소재의 합성, ii) 초미세, 초절전, 고신뢰 반도체 소자 제작 공정, iii) 비휘발성 메모리 및 스위칭 소자의 인공지능...

More

본 실험실은 할라이드기반 페로브스카이트 혹은 고분자기반의 광전소자 (발광소자, 태양전지, 레이징소자 등)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에 중점을 두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ZnO, SnO,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등과 같은 나노물질 합성에서 부터 전기광학적인 분석 및 소자제작 및 적용까지 종합적인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2018-Present : Professor,...

More

우리는 극저온주사터널링현미경 및 원자현미경을 기반으로 반도체, 센서, 에너지 변환 및  촉매 재료 등 다양한 신소재의 모델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것들의 근본적인 물성과 양자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규명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근본 원리를 바탕으로 작게는 원자부터 크게는 벌크 재료까지 다양한 스케일의 재료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More

나노스핀수송 연구실은 미래 인공지능 연산 구현을 위해 전자의 스핀거동을 제어하여 새로운 초고속 저전력 스핀트로닉스 소자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노스케일에서 나타나는 스핀산란, 스핀 수송, 자성 등의 다양한 물성에 대한 전기적 신호 검출에 기반하여 최첨단 신개념 로직 및 메모리 소자 개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More

반도체 나노소자 연구실은 반도체 재료, 공정, 소자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실로서, 차세대 반도체 시스템인 뉴로모픽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인공시냅스 소자, 멤컴퓨팅 소자, 그리고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2021-Present: Professor, UNIST 2007-2020: Professor, Myongji University 2007: Senior Researcher, Samsung Electronics 2004-2006: Postdoctoral...

More

본 연구실은 자성재료에 대한 기초 및  다양한 응용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수 나노크기의 구조체에서 스핀에 대한 기초적 이해와 이를 이용한 메모리 및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용 스핀트로닉 소자에 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희토류 없는 영구자석 신소재 개발, 자성 입자를 이용한 친환경...

More

다차원 구조 재료 연구실에서는3/4차원 미세구조 재현, 변화, 분석 및 물성과의 상관 관계를 다양한 실험 및 계산 (EBSD, SEM, Monte Carlo, CA, FEM, FFT-based Mechanics, In-House codes) 을 이용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다공성 금속 나노 재료, Li+ 베터리 세라믹 양극재, 금속 박막, 그리고 철강 전기강판에 이르기...

More

첨단재료설계연구실(Advanced Materials Design Laboratory, AMDL)은 에너지소재(연료전지소재, 이차전지소재), 극한소재(국방소재) 및 친환경소재(자동차내장소재)의 핵심소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원자∙분자단위 전산설계 및 기계학습을 이용한 데이터 기반 신소재 연구 및 공정 최적화를 함께 도모하고 있습니다. The Advanced Materials Design Laboratory (AMDL) focuses on researching core materials in energy materials (fuel cell...

More

우리 연구실은 원자 수준에서 새로운 소재의 분석, 디자인, 합성, 조절 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수차보정 투과전자현미경을 주요 장비로 이용하여 이차원 재료, 탄소 나노재료, 연성 소재 등 첨단 소재들의 구조, 물성, 화학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더나아가 원자 및 나노 수준의  고해상도 투과전자현미경내에서 혁신적인 실시간 재료 실험을...

More

본 연구실에서는 차세대 이차전지를 위한 재료 설계, 합성 및 고도 X-선 분석을 기반으로 재료의 구조 특성과 물성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재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유/무기 소재를 실제 전지 시스템에 적용하여 고용량·장수명 이차전지를 구현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2023~Present : Assistant...

More

나노광학 및 메타물질 실험실은 광학 공명구조에서 나타나는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연구합니다. 나노스케일의 구조에 빛을 가두고 다룰 수 있는 나노광학 및 메타광학 구조는 미래 디스플레이 등 여러 포토닉스 소자 응용에 중요합니다. 본 실험실에서는 이와 관련된 신개념 광학소자를 설계, 제작, 측정합니다. – Curriculum Vitae 2019-Present: Associate Professor,...

More

본 연구실은 Moore’s law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More Moore 및 More than Moore와 같은 방식의  차세대 반도체 개발 및 최적화를 물리적 모델링과 머신 러닝을 활용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신소자, 신개념의  반도체  최적화를 위해 재료, 공정, 소자, 회로 로 이어지는 Mutli-domain, Multi-scale 모델링 플랫폼 개발을...

More

미래반도체 연구실은 “More Moore” 및 “More Than Moore” 관련 기초 연구 및 개발된 기술의 산업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저희 연구실은 다양한 연구 분야(A.I, PCM, NCFET, Plasma Etching, Laser Annealing 등)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와 이를 이용한 인공지능 시스템 연구를 하고 있어서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 기업들과...

More

저희 연구실은 금속산화물, 금속수산화물 및 관련 소재들의 합성 방법을 연구합니다. 결정 성장 기작 연구와 더불어 단위 소재들의 어셈블리, 소재의 후처리 공정 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촉매, 메모리소자 등의 분야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성분이나 구조를 가진 소재를 디자인하는 것이 연구실의 목표입니다. –...

More

저희 연구실은 세라믹스가 지닌 기능적 특성에 대한 발현 메커니즘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을 바탕으로 신기능성 창출 및 최적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기본에 충실하면서 창의적 아이디어로 신기능성을 발현하고 이를 산업화함은 물론 차세대 산업 육성에 주안점을 두고 있습니다. 신소재 공학의 궁극적 목적인 신소재 개발 및...

More

태양연료 생산은 태양 에너지를 에너지 밀도가 높은 화합물의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일컫는데, 광전자나노소재 연구실은 이러한 태양연료 생산을 위한 소재 및 소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직접 소재 합성부터 소자 제작까지 하며 다양한 태양연료 생산 시스템 구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2022-Present: Assistant Professor, UNIST 2018-2022:...

More

생명공학소재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생명 현상을 연구하고 의생명공학용 장치 개발을 위해서는 생체적합성 고분자 기반 소재를 다양한 스케일로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 중요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나노 및 마이크로단위 공정법(전기방사, 미세유체, 3D 프린팅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고분자 기반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조직공학, 약물전달, 바이오센서 등의 생명공학 분야 에...

More

PnC lab의 주요 연구분야는 나노탄소(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와 다양한 나노필러 등을 이용하여 높은 기계적물성과 기능성을 가지는 고분자나노복합소재를 개발하고 극한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계적물성을 가지는 차세대 탄소섬유를 개발하는데 초점이 있습니다. 나노복합소재 물성향상은 단순하게 나노필러를 포함시키는 방법이 아닌 나노필러와 계면의 고분자 간에 상호작용을 화학적/물리적 방법을 이용하여 최대한 도출하여...

More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Ecolab)에서는 에너지 소자를 연구합니다. 차세대 태양전지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또는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를 용액 코팅, 증착 등 다양한 공법으로 제작하고 있으며 세계 최고의 효율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태양전지의 응용 분야를 넓힐 수 있도록 투명 태양전지와 신축성 태양전지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체온을 에너지로...

More

본 연구실에서는 양자점, 금속 나노와이어, 페로브스카이트 등 다양한 나노물질의 계면 특성을 개질하여 고해상도로 전자/적층하는 기술개발과 나노 물질 기반의 복합체 형성 기술 개발을 통해 새로운 폼펙터의 늘어나는 차세대 광전자소자 (LED, PD), 웨어러블 헬스케어 전자소자 및 소프트로봇을 개발합니다.   – Curriculum Vitae 2019-present: Assistant Professor, UNIST 2017-2019: Postdoctoral...

More

다양한 물질에 관련한 연구는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물리/화학적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상대 적으로 어렵습니다. 우리 그룹은 이론 및 실험적인 접근을 통해, 위와 같은 물질들의 특성에 대한 근본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바 탕으로 합성 및 응용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