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준
우리는 극저온주사터널링현미경 및 원자현미경을 기반으로 반도체, 센서, 에너지 변환 및 촉매 재료 등 다양한 신소재의 모델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것들의 근본적인 물성과 양자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규명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근본 원리를 바탕으로 작게는 원자부터 크게는 벌크 재료까지 다양한 스케일의 재료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2020-Present...
우리는 극저온주사터널링현미경 및 원자현미경을 기반으로 반도체, 센서, 에너지 변환 및 촉매 재료 등 다양한 신소재의 모델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것들의 근본적인 물성과 양자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규명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근본 원리를 바탕으로 작게는 원자부터 크게는 벌크 재료까지 다양한 스케일의 재료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2020-Present...
나노스핀수송 연구실은 미래 인공지능 연산 구현을 위해 전자의 스핀거동을 제어하여 새로운 초고속 저전력 스핀트로닉스 소자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노스케일에서 나타나는 스핀산란, 스핀 수송, 자성 등의 다양한 물성에 대한 전기적 신호 검출에 기반하여 최첨단 신개념 로직 및 메모리 소자 개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
반도체 나노소자 연구실은 반도체 재료, 공정, 소자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실로서, 차세대 반도체 시스템인 뉴로모픽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인공시냅스 소자, 멤컴퓨팅 소자, 그리고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2021-Present: Professor, UNIST 2007-2020: Professor, Myongji University 2007: Senior Researcher, Samsung Electronics 2004-2006: Postdoctoral Researcher,...
본 연구실은 자성재료에 대한 기초 및 다양한 응용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수 나노크기의 구조체에서 스핀에 대한 기초적 이해와 이를 이용한 메모리 및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용 스핀트로닉 소자에 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희토류 없는 영구자석 신소재 개발, 자성 입자를 이용한 친환경...
다차원 구조 재료 연구실에서는3/4차원 미세구조 재현, 변화, 분석 및 물성과의 상관 관계를 다양한 실험 및 계산 (EBSD, SEM, Monte Carlo, CA, FEM, FFT-based Mechanics, In-House codes) 을 이용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다공성 금속 나노 재료, Li+ 베터리 세라믹 양극재, 금속 박막, 그리고 철강 전기강판에 이르기...
첨단재료설계연구실(Advanced Materials Design Laboratory, AMDL)은 에너지소재(연료전지소재, 이차전지소재), 극한소재(국방소재) 및 친환경소재(자동차내장소재)의 핵심소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원자∙분자단위 전산설계 및 기계학습을 이용한 데이터 기반 신소재 연구 및 공정 최적화를 함께 도모하고 있습니다. The Advanced Materials Design Laboratory (AMDL) focuses on researching core materials in energy materials (fuel cell materials,...
우리 연구실은 원자 수준에서 새로운 소재의 분석, 디자인, 합성, 조절 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수차보정 투과전자현미경을 주요 장비로 이용하여 이차원 재료, 탄소 나노재료, 연성 소재 등 첨단 소재들의 구조, 물성, 화학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더나아가 원자 및 나노 수준의 고해상도 투과전자현미경내에서 혁신적인 실시간 재료 실험을...
본 연구실에서는 차세대 이차전지를 위한 재료 설계, 합성 및 고도 X-선 분석을 기반으로 재료의 구조 특성과 물성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재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유/무기 소재를 실제 전지 시스템에 적용하여 고용량·장수명 이차전지를 구현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2023~Present : Assistant Professor,...
나노광학 및 메타물질 실험실은 광학 공명구조에서 나타나는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연구합니다. 나노스케일의 구조에 빛을 가두고 다룰 수 있는 나노광학 및 메타광학 구조는 미래 디스플레이 등 여러 포토닉스 소자 응용에 중요합니다. 본 실험실에서는 이와 관련된 신개념 광학소자를 설계, 제작, 측정합니다. - Curriculum Vitae 2019-Present: Associate Professor, UNIST...
본 연구실은 Moore’s law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More Moore 및 More than Moore와 같은 방식의 차세대 반도체 개발 및 최적화를 물리적 모델링과 머신 러닝을 활용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신소자, 신개념의 반도체 최적화를 위해 재료, 공정, 소자, 회로 로 이어지는 Mutli-domain, Multi-scale 모델링 플랫폼 개발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