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식
미래반도체 연구실은 "More Moore" 및 "More Than Moore" 관련 기초 연구 및 개발된 기술의 산업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저희 연구실은 다양한 연구 분야(A.I, PCM, NCFET, Plasma Etching, Laser Annealing 등)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와 이를 이용한 인공지능 시스템 연구를 하고 있어서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 기업들과...
미래반도체 연구실은 "More Moore" 및 "More Than Moore" 관련 기초 연구 및 개발된 기술의 산업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저희 연구실은 다양한 연구 분야(A.I, PCM, NCFET, Plasma Etching, Laser Annealing 등)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와 이를 이용한 인공지능 시스템 연구를 하고 있어서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 기업들과...
저희 연구실은 금속산화물, 금속수산화물 및 관련 소재들의 합성 방법을 연구합니다. 결정 성장 기작 연구와 더불어 단위 소재들의 어셈블리, 소재의 후처리 공정 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촉매, 메모리소자 등의 분야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성분이나 구조를 가진 소재를 디자인하는 것이 연구실의 목표입니다. - Curriculum...
저희 연구실은 세라믹스가 지닌 기능적 특성에 대한 발현 메커니즘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을 바탕으로 신기능성 창출 및 최적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기본에 충실하면서 창의적 아이디어로 신기능성을 발현하고 이를 산업화함은 물론 차세대 산업 육성에 주안점을 두고 있습니다. 신소재 공학의 궁극적 목적인 신소재 개발 및...
태양연료 생산은 태양 에너지를 에너지 밀도가 높은 화합물의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일컫는데, 광전자나노소재 연구실은 이러한 태양연료 생산을 위한 소재 및 소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직접 소재 합성부터 소자 제작까지 하며 다양한 태양연료 생산 시스템 구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2022-Present: Assistant Professor, UNIST 2018-2022: Research...
생명공학소재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생명 현상을 연구하고 의생명공학용 장치 개발을 위해서는 생체적합성 고분자 기반 소재를 다양한 스케일로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 중요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나노 및 마이크로단위 공정법(전기방사, 미세유체, 3D 프린팅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고분자 기반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조직공학, 약물전달, 바이오센서 등의 생명공학 분야 에...
PnC lab의 주요 연구분야는 나노탄소(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와 다양한 나노필러 등을 이용하여 높은 기계적물성과 기능성을 가지는 고분자나노복합소재를 개발하고 극한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계적물성을 가지는 차세대 탄소섬유를 개발하는데 초점이 있습니다. 나노복합소재 물성향상은 단순하게 나노필러를 포함시키는 방법이 아닌 나노필러와 계면의 고분자 간에 상호작용을 화학적/물리적 방법을 이용하여 최대한 도출하여...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Ecolab)에서는 에너지 소자를 연구합니다. 차세대 태양전지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또는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를 용액 코팅, 증착 등 다양한 공법으로 제작하고 있으며 세계 최고의 효율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태양전지의 응용 분야를 넓힐 수 있도록 투명 태양전지와 신축성 태양전지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체온을 에너지로...
본 연구실에서는 양자점, 금속 나노와이어, 페로브스카이트 등 다양한 나노물질의 계면 특성을 개질하여 고해상도로 전자/적층하는 기술개발과 나노 물질 기반의 복합체 형성 기술 개발을 통해 새로운 폼펙터의 늘어나는 차세대 광전자소자 (LED, PD), 웨어러블 헬스케어 전자소자 및 소프트로봇을 개발합니다. - Curriculum Vitae 2019-present: Assistant Professor, UNIST 2017-2019: Postdoctoral Researcher,...
다양한 물질에 관련한 연구는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물리/화학적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상대 적으로 어렵습니다. 우리 그룹은 이론 및 실험적인 접근을 통해, 위와 같은 물질들의 특성에 대한 근본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바 탕으로 합성 및 응용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